CPIM이란 ?
생산재고관리사(Certified in Production and lnventory Management: CPIM)는
1973년 미국에서 정보화시대의 새로운 생산재고관리 분야의 전문지식을 보급하기
위하여 그 능력을 평가하여 인증하기 시작한 자격증입니다.
그 이후 50만회 이상의 시험이 전 세계 40여 국가에서 실시되어 현재 57000여명의
CPIM과 2300여 CFPIM의 전문인력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세계에서 그들의 능력을 인정
하고 있습니다.
CPIM은 생산재고관리분야의 국제표준으로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새로운 현재 2008년 전세계적으로 약 90,000여명
=> 헐 이건 거의 기술사 급의 인원이군요 에구구
CPIM의 필요성
기업경영의 가장 큰 축은 생산과 판매일 것이다. 비제조업은 생산의 의미가 크게
중요하지 않겠지만 생산(Production)의 의미를 좀더 확대시켜 제조(manufacturing)의
의미로 본다면 모든 서비스활동도 판매를 위한 제조의 개념으로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경영을 보면 마케팅에 의한 경영을 추구하는 경향이 큽니다. 물론
이러한 마케팅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제조에 대한 중요도가
감소하여 균형감을 잃어버려서 기업의 전반적인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제조방법에 대한 두개의 큰 흐름은 JIT로 대변되는 일본 방식과 MRP로 강조되는
미국 방식으로 구분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일본은 실제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방식이
강하고 미국은 철저한 계획에 의한 통제를 중요시 여깁니다.
정보기술이 제조기법을 따라오지 못했던 80년대에는 JIT방식을 추구했던 일본 기업들
이 득세를 했던 기간으로 본다면 90년대 들어서면서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제조기법에 컴퓨터를 많이 도입했던 미국이 득세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BPR,다운사이징,
리스터럭처링등 다른 생존 기법들의 도입으로 성공을 거두었다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이러한 근본에는 체계적인 제조원리가 있었다라는 것입니다.
효과
Increase your functional knowledge of produc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Improve efficiency across the processes of your organization's supply chain
Streamline operations through accurate forecasting
Predict outcomes more accurately
Maximize ROI on system and technologies
Increase profitability by optimizing your organization's inventory investment
Enhance your credibility among peers, employers and customers
과목(총 5 과목)
1. Basics of Supply Chain Management
Businesswide Concepts: Elements of the Supply Chain; Operating
Environments; Financial Fundamentals;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 II); Just-in-Time (JIT);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Relationships among MRP II, JIT and TQM
Demand Planning: Marketplace-driven; Customer Expectations and
Definition of Value; Customer Relationships; Demand Management
Transformation of Demand into Supply: Design; Capacity
Management; Planning; Execution and Control; Performance Measurements
Supply:Inventory; Purchasing;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2.Master Planning of Resources
Demand management: Forecasting; Order Entry; Order Promising; Branch
Warehouse Requirements; Interplant Orders; Service Part Requirement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Integrating customer-focused marketing
plans for new and existing products with the management of the supply
chain; Production Plan; Inventory/Backlog Plan
Master Scheduling: Master Production Schedule; Product Configurations;
Rough-cut Capacity Planning; Final Assembly Scheduling
3.Detailed Scheduling and Planning
Planning Material Requirements to Support the Master Schedule;
Inventory Management; Information used in the Material Plann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Material Planning Process
Planning Operations to Support the Priority Plan: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the Detailed Capacity Planning Process;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Detailed Capacity Planning Process
Planning Procurement and External Sources of Supply; Techniques and
Concepts for Supplier Partnerships
4.Execution and Control of Operations
Prioritizing and Sequencing Work to be Performed: Production Environment;
Scheduling Production and Process Operations
Executing the Plans, Implementing Physical Controls, and Reporting
Results of Activities Performed: Authorizing and Reporting Activities
for Push Systems; Authorizing and Reporting Activities for Pull Systems;
Controlling Resources; Executing Quality Initiatives, Eliminating Waste,
and Implementing Continuous Improvement
Evaluating Performance and Providing Feedback: Evaluating Quality
Management Processes; Monitoring Supplier Performance;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Production Operations; Cost Management Process
5. Strategic Management of Resources
Aligning the Resources with the Strategic Plan: Competitive Market
Issues; Choices Affecting Facilities; Choices Affecting the Supply Chain;
Choices Affecting Organizational Design
Configuring and Integrating the Operating Processes to Support the Strategic
Plan: Configuring and Integrating the Priority Planning Processes;
Configuring and Integrating the Capacity Planning Processes;
Configuring and Integrating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es;
Configuring and Integrating Cost Processes;
Implementing Change: Evaluating and Managing Projects; Measu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ing Change in an Organization
=================================================================
BSCM(공급사슬관리의 기초) Entry Module
Basics of Supply Chain Management
Elements of the Supply Chain
Just-in-Time (JIT)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Manufacturing Resources Planning (MRP II)
Demand Planning
Capacity Management
MPR(자원기준계획) Core Competency Module
Master Planning of Resources
Demand Management
Sales& Operations Planning
Master Scheduling
Measuring the Business Plan
DSP(상세일정계획수립) Core Competency Module
Detailed Scheduling and Planning
Recognizing Techniques and Practices of Inventory Mgmt.
Mechanics of the Detailed Material Planning Process
Planning Operations to Support the Priority Plan
Planning Procurement and External Sources of Supply
ECO(작업실행 및 통제) Core Competency Module
Execution and Control of Operations
Prioritizing and Sequencing Work
Executing Plans and Implementing Controls
Authorizing and Reporting Activities for Push and Pull Systems
Evaluating Performance and Providing Feedback
SMR(전략적 자원관리) Capstone Module
Strategic Management of Resources
Competitive Market Issues
Choices Affecting Facilities, Supply Cha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Design
Configuring and Integrating Internal Processes
Evaluating and Managing Projects
========================================
처음 시작하려면 다음 7가지 원칙을 참조하십시오.
1) 먼저 CPIM이 내게 필요한가 타당성 검토를 한다.
단순, 자격취득을 한다면 하지 않는 것이좋다. 투자대 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이다.
향후 관련업무를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이 분야 전문가가 되시겠다는
확고한 신념이 있으면 바람직 합니다.
2) 다음으로 APICS,KPICS, NISSI 을 통하여 기본 개념을 파악합니다.
3) 교재를 구입합니다. (KPICS, 313-7610으로 문의하여 구입)
4) 학습계획을 세웁니다.
5과목을 보고 자신의 경력을 고려하여 학습할 과목의 순서를 정합니다.
5) 학습을 하고 시험신청을 합니다.
6) 5과목을 패스하면 CPIM 이 됩니다.
7) CPIM 이 된 이후에 5년동안의 활동실적이 있어야 지속적으로 CPIM자격을 유지할수 있음을 유념하십시오.
CPIM의 문의 정보
한국 생산 재고 통제 협회 (KPICS : 02 - 313 - 7610)
미국 생산 재고 통제 협회 (APICS : 800 - 444 - 2742, 703 - 237 - 8344)
인터넷에서 CPIM OR APICS를 서치하여 찾는다.
(현재까지 인터넷 접수는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음)
혼자서 공부하기 #1
- BASICS->JIT->MCRP->MP->IM->PAC->S&T 가 효율적
이며 이중 BASICS를 맨 마지막에 볼수도 있습니다.
- 혼자서 학습을 하기에는 실무경험이 필수 적이며 그렇지 않으시면 그룹을 만들어
스터디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요령은 스터디가이드]를 참조하여 전체 항목과 출제경향을 파악한 후
학습교재를 정독하면서 전체내용을 연결지어 흐름을 이해하고 응용을 생각하는
방향으로 공부를 하고
- 2차적으로 샘플테스트를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검증해 본후
- 부족한 부분은 교재를 통하여 개념과 상호 연결관계를 확인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개별적으로 참고도서는 시간이 충분할때 이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제일 처음으로 공부를 하면 좋은 과목은 IM입니다.
그리고 MCRP / PAC / MP / JIT / S&T...이정도 순서가 좋을 것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자신의 특성에 맞고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의 module부터 하는 것이 좋겠죠.)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IM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구요. 다음 과목으로는 힘들더라도 MCRP를
시작하는 것이 좋겠네요.
=============================================
◆ 참고강좌
◆ KPICS (연4회 시험)
현재 KPICS에서 수시로 운용되고 있으며, 문의는 (02-313-7610, KPICS)로 하기
바랍니다.
◆ NISSI컨설팅 (Tel: 02)859-2432, Fax: 02)3282-1551, www.nissi.co.kr)
CFPPIM1명, CPIM2명의 강사진이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무료 강좌도 개설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Home Page(www.nissi.co.kr)를 참조하면 된다.
◆ 한국능률협회(http://www.kma.or.kr/)
홈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
출처:여기저기 짬뽕
댓글 없음:
댓글 쓰기